과자 사면 과학 주는 편의점으로 놀러 와!
과자, 라면, 아이스크림, 삼각김밥 등
편의점 먹거리에 숨은 맛있는 과학
어린이가 학교 끝나고 심심할 때 들르는 곳, 친구와 마주 앉아 매운 컵라면을 먹는 곳, 릴스에 나온 신제품 젤리를 구하러 가는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편의점이에요! 하지만 편의점에 간다고 하면 부모님은 눈살을 찌푸리곤 해요. 편의점 먹거리는 몸에 좋지 않다면서요.
하.지.만. 모두 오해예요. 요즘 편의점 먹거리가 얼마나 잘 나오는데요. 게다가 먹거리를 사면 과학까지 줘요. 먹거리 속에 초등 과학 교과 연계 내용부터 최근 환경 문제까지, 다양한 과학 이야기가 숨어 있거든요.
《과자 사면 과학 드립니다》는 과자, 라면, 아이스크림, 삼각김밥 등 편의점 먹거리에 숨은 맛있는 과학 이야기를 들려줘요. 과자 하나만 샀을 뿐인데 ‘과자가 눅눅해지는 이유는 뭘까?’, ‘왜 컵라면 용기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까?’, ‘제로 콜라인데 왜 달콤할까?’, ‘푸딩은 액체일까, 고체일까?’, ‘왜 커피를 마시면 지구가 아플까?’ 등 과학 지식이 선물처럼 쏟아지지요. 든든하게 배도 채우고 똑똑하게 과학 지식도 채우고 싶다면, 과자 사면 과학 주는 편의점으로 놀러 와요!
☆여기는 맛있는 과학 편의점☆
초등 과학 교과 연계부터 최근 환경 문제까지,
다양한 과학 이야기를 들려줄게!
《과자 사면 과학 드립니다》에는 26가지 먹거리가 등장해요. 과자부터 풍선껌, 솜사탕, 콜라, 탕후루, 소시지, 떡볶이, 햄버거까지. 먹거리마다 과학 이야기 2개가 담겨 있어서, 총 52개의 과학 이야기를 만날 수 있어요.
음료 코너에 있는 ‘말그미 생수’ 속 과학을 들여다볼까요? 첫 번째 과학은 ‘생수는 어떻게 만들까?’예요. 우리가 먹는 생수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보며, 그 안에서 초등 과학 교과 ‘물의 상태 변화’ 내용을 다루지요. 두 번째 과학은 ‘왜 생수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나올까?’예요. 미세 플라스틱이 무엇인지부터 미세 플라스틱이 생기는 이유, 미세 플라스틱을 없애기 위한 실천 방법 등을 알려 주지요. 최근 환경 문제에서 미세 플라스틱 문제를 빼놓을 수 없으니까요. 어때요? 하나의 먹거리에 초등 과학 교과 연계 내용과 최근 환경 문제가 같이 들어 있다니, 놀랍지요?
어린이 독자는 편의점 먹거리에 숨은 과학 이야기를 통해, 주변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히고 생각의 깊이를 확장할 수 있어요. 음식이나 물건 등 일상생활 속 모든 것에 과학적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찾으며 몰랐던 과학을 새로이 알아가는 것이지요.
왜 컵라면 용기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까?
껌을 씹으면 멀미가 사라질까? 탕후루 시럽은 왜 저으면 안 될까?
나의 편의점 최애 먹거리에 담긴 과학을 알아봐!
교과와 관련된 과학만 다루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에요. 편의점 먹거리가 화자가 되어, 어린이가 재미있어할 만한 과학 이야기도 들려줘요. 불꼬꼬볶음면의 ‘매울 때 물을 마시면 도움이 될까?’, 탕후루의 ‘탕후루 시럽은 왜 저으면 안 될까?’, 풍선껌의 ‘껌을 씹으면 멀미가 사라질까?’ 등을 통해 일상생활 속 알아두면 쓸모 있는 팁을 알려 주거든요. 초코 과자의 ‘초콜릿 표면의 하얀 가루는 무엇일까?’, 팝콘의 ‘옥수수수염은 몇 개일까?’, 떡볶이의 ‘밀떡이 좋을까, 쌀떡이 좋을까?’ 등을 통해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기도 하고요.
《과자 사면 과학 드립니다》의 재미 요소는 여기서 끝이 아니에요. 먹거리마다 과학 지식과 삶의 지혜가 몇 퍼센트(%) 들었는지 표시해, 그림만 보아도 각 먹거리가 교과 내용을 많이 담고 있는지, 아니면 일상생활 속 팁을 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어요. 재미를 위해 달콤함, 바삭함, 고소함, 새콤함 등이 몇 퍼센트 들었는지도 표시했고요.
여러분의 편의점 최애 먹거리는 무엇인가요? 나의 편의점 최애 먹거리에는 어떤 과학이 담겨 있는지, 함께 찾아보아요!
*초등 과학 교과 연계 단원 (2022 개정 교육 과정)
3학년 1학기 - 힘과 우리 생활, 동물의 생활, 식물의 생활, 생물의 한 살이
3학년 2학기 - 물체와 물질
4학년 1학기 - 물의 상태 변화
4학년 2학기 - 생물과 환경, 여러 가지 기체, 기후 변화와 우리 생활
5학년 1학기 - 용해와 용액,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5학년 2학기 - 혼합물의 분리, 열과 우리 생활
6학년 1학기 - 산과 염기, 식물의 구조와 기능
글 정윤선
대학에서 물리학을, 대학원에서 물리 교육학을 공부했습니다. 흥미로운 과학과 재미있는 세상을 함께 나누고 싶어 글을 씁니다. 지은 책으로는 《챗GPT가 내 공부를 다 해 준다고?》, 《지구를 위해 달려라, 미래 에너지》, 《육식과 채식: 고 기 말고 그럼 뭘 먹으라고?》, 《초등학생을 위한 개념 과학 150》, 《고양이는 정말 액체일까?》, 《우리 학교 부실 급식을 막아라!》, 《붉은 소나무 숲의 비밀》, 《어린이를 위한 4차 산업 혁명 안내서》, 《함께라면》, 《달에 천문대를 세워 볼까?》, 《엘리베이터를 타고 우주로 나가 볼까?》 등과 동화 《초록의 시간》, SF 단편집 《페트로글리프》 중 〈손맛〉이 있습니다.
그림 시미씨
일상의 사소한 매력을 담아내고 싶은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 네이버 웹툰 베스트 도전에 〈곰팡남녀〉를 연재 중입니다. 그린 책으로는 《맛난이 채소》, 《수상한 아랫집의 비밀》, 《불 때문에 난리, 물 때문에 법석! 기후 위기》, 《친애하는 나의 몸에게》, 〈미스터리 수학 탐정단〉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과자 코너
햇감자칩 - 비행기에서는 왜 과자 봉지가 부풀어 오를까? / 감자는 왜 햇빛을 보면 초록색으로 변할까?
버블 풍선껌 ? 껌은 뭘로 만들었을까? / 껌을 씹으면 멀미가 사라질까?
버섯 초코 - 초콜릿은 왜 입안에서 더 빨리 녹을까? / 초콜릿 표면의 하얀 가루는 무엇일까?
아이쿠셔 젤리 - 신맛의 정체는 무엇일까? / 비타민 C를 꼭 먹어야 할까?
채소 비스킷 - 왜 과자에 구멍이 뚫려 있을까? / 과자가 눅눅해지는 이유는 뭘까?
사르르 솜사탕 - 솜사탕은 어떻게 만들까? / 맛은 어떻게 느낄까?
영화관 팝콘 - 옥수수가 어떻게 팝콘이 될까? / 옥수수수염은 몇 개일까?
라면&간식 코너
찐라면 컵 - 왜 컵라면 용기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까? / 라면은 왜 꼬불꼬불할까?
불꼬꼬 볶음면 - 매운 음식을 먹으면 왜 입안이 얼얼할까? / 매울 때 물을 마시면 도움이 될까?
주머니몬스터 빵 - 빵은 왜 푹신푹신할까? / 띠부띠부씰은 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을까?
달콤 과일 통조림 - 통조림의 유통 기한은 왜 길까? / 통조림 뚜껑을 따는 원리는 무엇일까?
쫀득 고구마 말랭이 - 고구마 말랭이는 왜 오래 보관할 수 있을까? / 군고구마는 어쩜 그리 달콤할까?
음료&아이스크림 코너
제로 슈거 콜라 - 콜라는 왜 톡 쏠까? / 설탕이 ‘0’인데 왜 달콤할까?
말그미 생수 - 생수는 어떻게 만들까? / 왜 생수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나올까?
스포츠 음료 - 스포츠 음료와 물은 뭐가 다를까? / 열이 날 때 스포츠 음료를 마시면 도움이 될까?
안 졸려 캔 커피 - 어린이는 커피를 마시면 안 될까? / 왜 커피를 마시면 지구가 아플까?
앗 차가 아이스크림 - 소프트아이스크림은 어쩜 그리 부드러울까? /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왜 머리가 띵할까?
과일 탕후루 - 탕후루 시럽은 왜 저으면 안 될까? / 달콤한 음식은 왜 자꾸 생각날까?
투명 얼음 컵 - 얼음물을 마실 때 왜 자꾸 얼음이 코에 닿을까? / 얼음은 왜 미끄러울까?
유제품&냉장 코너
하이얀 우유 - 멸균 우유는 정말 냉장고에 안 넣어도 될까? / 젖을 먹고 자라는 동물에는 누가 있을까?
크림치즈 푸딩 - 푸딩은 액체일까, 고체일까? / 치즈는 어떻게 만들까?
감동받은 달걀 - 달걀이 짭조름한 이유는 뭘까? / 유정란과 무정란은 무엇이 다를까?
탱글 소시지 - 소시지는 왜 세로로 터질까? / 소시지는 고기일까?
엽기적으로 매운 떡볶이 - 밀떡이 좋을까, 쌀떡이 좋을까? / 매운 음식을 먹으면 왜 눈물, 콧물이 날까?
마요 삼각김밥 - 전자레인지로 어떻게 삼각김밥을 데울까? / 까만 김은 어디에서 왔을까?
통통 햄버거 - 햄버거는 정말 몸에 안 좋을까? / 왜 햄버거를 먹으면 환경이 파괴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