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고
불안해하는 나, 비정상일까요?”
내 안의 불안을 이해하고 지혜롭게 대처하는 법
요즘 들어 TV나 유튜브에서 ‘불안 장애’나 ‘공황 장애’, ‘우울증’에 대해 꽤 많이 다루고 있다. 우울하거나 불안하면 마치 내가 정상이 아닌 것 같고, 내게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 같다는 생각에 상담실을 찾는 청소년들이 늘고 있다. 특히 과도한 학업과 급격한 감정의 기복, 대인관계에서 오는 고민에 시달리는 십 대에게 불안은 어쩌면 당연한 감정일지 모른다.
《불안 쫌 아는 10대》는 ‘불안하다는 감정에 불안을 느끼는’ 십 대에게 필요한 ‘불안에 대처하는 자세’를 두 철학자들의 이야기로 자연스럽게 풀어낸 책이다.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를 통해 우리 마음을 해부해서 불안한 이유를 설명해 주는 프로이트와, 삶이 내 마음대로 되지 않아서 불안할 때 이를 극복하고 긍정하는 태도를 알려주는 니체의 철학 이야기가 담겨 있다. 선생님과 아이들의 흥미진진한 대화를 통해 두 철학자들의 이야기뿐 아니라, 우리가 느끼는 불안의 이유와 의미, 대처법까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프로이트, “우리는 모두 신경증자다. 인간이니까 불안하다.”
니체, “신은 죽었다. 죄책감은 버리고 하고 싶은 대로 살 것.”
내 안의 불안은 어디에서, 왜 오는 것일까?
우리 모두가 가진 ‘불안’을 들여다보는 본격 철학 토론!
우리는 왜 불안감을 느낄까? 사실 인간이라면 누구나 불안을 갖고 있다. 불안은 자연스러운 감정이며 어떤 면에서는 미래를 준비하는 원동력이 되어 주기도 한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몸에 변화가 일어나고, 적응할 만하면 찾아오는 새로운 환경과 인간관계, 학업 스트레스와 막막한 미래에 대한 걱정에 둘러싸인 십 대에게 불안은 위협적이다. 다양한 변화에서 오는 불안감에 대처하는 경험과 힘이 부족하다보니 자꾸 불안해지는 자신을 비정상으로 느끼거나, 불안감을 느끼는 상태를 불안해하기도 한다.
이럴 때 진짜 필요한 건, 스스로 불안을 느끼는 이유를 알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힘을 찾는 것이다. 철학으로 우리 자신에 대한 이해를 넓혀 가는 <철학 쫌 아는 십 대> 시리즈의 두 번째 책 《불안 쫌 아는 10대》에서는 철학자 프로이트와 니체의 철학을 통해 불안의 뿌리와 의미를 들여다본다.
정신분석학을 창시한 프로이트는 불안이 생겨나는 원리를 찾아 인간의 마음속 무의식을 해부한다. 우리 안의 욕망인 리비도를 다루는 과정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드-자아-초자아를 이해하고, 여기서 생겨나는 불안을 막는 방법으로 나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일깨워준다.
힘든 삶속에서 명랑과 긍정을 사랑했던 니체는 자신의 운명을 극복하고 사랑하는 초인과 운명애를 이야기하면서, 좀 더 적극적으로 죄책감과 불안감을 버리고 하고 싶은 대로 살 것을 권한다. 두 철학자 모두 인간으로서 갖는 불안을 인정하고 긍정하면서, 무엇보다도 건강하게 자신을 사랑하라는 다정한 말을 건넨다.
불안을 만드는 것도, 이겨내는 것도 나 자신!
불안을 인정하고 삶을 사랑하는 법을 찾아서
프로이트와 니체의 철학으로 불안의 실체를 알아간 이후의 최종 목적지는 다름 아닌 ‘나만의 가치를 찾아 건강한 몸 만들기’이다. 갑자기 건강한 몸이라니? 니체는 불안에 휘둘리지 않는 초인, 즉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강한 사람이 될 것을 강조했다. 여기서 강하다는 것은 단순히 힘이 세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가치를 가지고 몸을 잘 조절할 줄 아는 사람을 뜻한다. 건강한 본능을 가지기 위해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 긍정적인 생각 습관과 언어생활 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쌓이면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자신의 삶을 긍정하면서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의 말미에서 건강한 몸을 강조하며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막연한 불안을 이겨낼 것을 권한다.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시험공부 때문에 불규칙한 생활을 해야 하는 요즘 청소년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자신의 몸을 긍정하고 건강하게 가꾸는 것이라고 말한다. 건강한 몸으로 진정 행복한 삶을 만들어 나가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책의 화자인 상담 선생님을 찾아온 세 아이들의 이야기 역시 보통의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불안의 예로서, 독자인 청소년들이 쉽게 공감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어렵고 딱딱한 철학서가 아니라 이 책이 아이들의 삶에 건강한 영향을 주는 다정한 안내자가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