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오늘도 뇌 마음대로 하는 중 크게보기

오늘도 뇌 마음대로 하는 중

건망증부터 데자뷔, 가위 눌림까지 뇌과학으로 벗겨 낸 일상의 미스터리
저자

사울 마르티네스 오르타

옮김

강민지

발행일

2025-01-23

면수

148*210

ISBN

264

가격

979-11-6172-985-5 03400

가격

17,000원

  • 트위터
  • 페이스북
  • 도서소개
  • 저자소개
  • 차례
  • 독자서평
  • 미디어서평

내가 무슨 말을 하려고 했더라?”

나도 모르는 사이, 우리는 뇌 마음대로 작동 중이다!

우리 일상 속 사소하고 이상한 행동들을 이해하는 뇌과학 

우리는 멀쩡하게 일상을 보내다가도 가끔씩 사소하지만 이상한 경험을 할 때가 있다. 매일 같은 자리에 두던 차 키가 아무리 찾아도 안 보인다거나, 주위에 아무도 없는데 내 이름을 부르는 소리가 들린다거나, 꿈을 꿨는데 실제로 그 사건이 일어나는 그런 경험들 말이다. 그럴 때마다 내가 드디어 정신이 이상해진 건가?’ 하는 마음에 당황스럽고 이상한 병에 걸린 건 아닌지 걱정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낯선 경험들을 겪는다고 해서 비정상이라는 뜻은 아니다. 우리는 정상적인 상태이며, 단지 뇌 마음대로작동한 것뿐이다. 이 책은 우리가 일상 속에서 흔히 겪는 가벼운 기억 상실이나 데자뷔, 예지몽, 직감, 가위 눌림과 같은 현상들을 뇌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인간다움을 만드는 신경심리학적 요소들을 설명한다. 신경심리학자로서 수많은 임상 연구를 해 온 저자는 실제 내담자들의 사례들을 꺼내 놓으며 우리를 흥미진진한 뇌의 세계로 초대한다.

 

이거 완전 내 얘기잖아!”

현관문 앞에서 핸드폰 찾기, 도무지 기억 안 나는 이름,

운전할 때만 튀어나오는 또 다른 자아, 어디선가 봤던 것 같은 기시감

뇌가 고장 난 것처럼 내 등골을 오싹하게 만드는 미스터리한 경험들,

우리 뇌의 관점으로 명쾌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오늘도 뇌 마음대로 하는 중에는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이라면 무릎을 탁 치며 공감할 만한 현실적인 사례들이 가득하다. 가벼운 건망증이나 기억의 조작과 왜곡, 가위 눌림으로 불리는 수면 마비, 운전석에 앉으면 예민해지고 자꾸만 분노가 치미는 심리와 같은 경험들을 뇌의 관점으로 명쾌하게 설명해 준다. 저자가 임상 신경심리학자로서 현장에서 만난 환자들의 다양한 사례를 읽다 보면, 내 행동들이 비정상이 아니었다는 것에 한결 안심과 공감을 느낄 것이다. 나아가 각 증상을 유발하는 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면서 그와 관련된 흥미로운 지식도 함께 얻을 수 있다. 사람의 얼굴이 아닌 형상이 얼굴처럼 보이는 변상증이나 한쪽 손에 자아가 생긴 듯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이는 외계인손증후군 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설명하면서 우리 뇌가 신체에 작용하는 다양한 원리를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물론 기가 막히게 맞아떨어지는 예지몽이나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 돌아오는 임사 체험, 자신의 몸을 빠져 나와 자신과 마주하는 유체 이탈 경험 등을 과학이 완벽히 설명할 수는 없다. 저자는 그러한 경험들을 충분히 존중하면서도, 뇌과학과 신경심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는 자신의 여정에 동참해 줄 것을 권한다. 이 책이 단순히 병적이거나 미스터리한 뇌의 증상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서 우리를 작동시키는 뇌의 메커니즘을 알아가는 즐거운 배움의 과정이었으면 해서다.

 

노인성 치매의 오류, ADHD를 이용한 상술,

내향적 인간과 외향적 인간을 결정하는 유전자 등

뇌를 둘러싼 오해와 궁금증을 다양한 사례들로 접근하다

호기심 많은 신경심리학자가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인간다운모습을 완성시키는 뇌 작동의 메커니즘

최근 10년간 뇌과학이나 신경과학과 관련된 분야는 폭발적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다 보니 유사 과학으로 변질되거나 뇌 기능에 대한 미신 또는 거짓말이 유행하고, 이를 상술로 활용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각종 미디어에서 뇌과학이나 신경과학이라는 용어를 아무렇게나 사용한 덕분에 사람들과 심리적 거리감은 좁혀진 대신, 진실과의 거리는 멀어진 상태다. 저자는 이런 오류와 미신들을 정면으로 다루면서 오히려 인간의 뇌가 기능하는 방식에 대한 또 다른 측면으로 인식하며 흥미롭게 접근한다.

인간이 뇌의 10%만 사용한다거나 ADHD 환자는 집중력이 부족하다는 착각, 나이가 들면 치매에 걸린다는 등 여러 설들의 오류를 짚어낸다. 그 외에 내향적 또는 외향적 인간을 규정하는 유전자나 아동청소년기의 무모한 행동들을 설명해 주는 신경 인지 과정에 대한 설명은 매우 흥미롭다.

저자는 오랜 기간 동안 뇌 기능과 인간 행동의 관계를 탐구해 온 자신의 경험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쓰인 책 속 내용들은 독자를 현혹하기보다는 지식에 대한 궁금증을 자극하기 위한 목적임을 밝혔다. 바로 이 지점이 호기심 많은 인간인 당신이 뇌의 세계를 알고 싶을 때 이 책을 읽어야만 하는 분명한 이유이다.



** 추천의 글 **

뇌의 감시 시스템과 억제 조절 작용으로 인간은 위험한 행동을 피할 수 있다. 메타인지 덕분에 우리는 자신을 관찰하여 상황 맥락에 맞는 행동이 가능해진다. 이 책은 기억 오류와 착각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인간 뇌 작동 방식에 관한 많은 기본적인 지식을 알려 준다._박문호(뇌과학 전문가, 뇌 생각의 출현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