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철학의 숲, 길을 열다 크게보기

철학의 숲, 길을 열다

발행일

2012-06-15

가격

978-89-7474-454-0

가격

16,000원

  • 트위터
  • 페이스북
  • 도서소개
  • 저자소개
  • 차례
  • 독자서평
  • 미디어서평
▣ 네이버 캐스트 ‘철학의 숲’ 두 번째 권 출간!
《철학의 숲, 길을 열다》는 서양의 고대에서 근대 전기의 철학자를 다룬 《철학의 숲, 길을 묻다》(2011년 출간)의 후속작으로, 네이버 캐스트 ‘철학의 숲\'에 연재된 애덤 스미스부터 위르겐 하버마스까지 근현대 서양철학자 21명의 핵심 사상과 그들 간의 사상적 반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했다. 특히 저자들은 철학 또는 학문의 분수령인 근현대기에 철학이 새롭게 걸어온 길 그리고 앞으로 새로이 걸어야 할 길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며 이 책을 서술했다.
본디 철학은 생각의 학문, 고민의 학문이다. 철학자들은 예나 지금이나 자신이 발 딛고 서 있는 세계와 마주하며 자신들에게 제기된 문제를 탐구하고, 질문을 던지고, 의견을 교환하고, 답변을 내놓는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과 세계를 바라봐야 할지 안내하는 길잡이가 된다. 이 책은 그 길잡이에 관한 책이며, 그들의 사상은 철학의 새로운 길을 가리키는 이정표이다.
이 책을 읽으며 21명의 철학자에 대한 저자들의 상세하고 친절한 해설을 듣다 보면, 우리는 어느새 철학에게 제시된 새로운 길을 이미 걷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길을 걸으면서 자신만의 길을 스스로 열게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 《철학의 숲, 길을 열다》는 우리가 그 길을 걷도록 이끄는 충실한 안내서이다.

▣ 백가쟁명의 시기, 저마다 다른 철학의 길을 조명하다!
네이버 캐스트 ‘철학의 숲\'에 매주 근현대 서양철학자들에 관한 글이 게재될 때마다 강호의 철학도들은, 수 세기 전에 여러 철학자들이 백가쟁명을 펼쳤던 것을 재현이라도 하듯 게시판에 수만 개의 댓글을 쏟아내며 열띤 논쟁을 벌였다.
애초에 철학에는 정답이 없다. 토마스 쿤이 책 한 권에서 패러다임이라는 용어를 21가지 개념으로 사용했듯이, 철학자 대니얼 대넷이 수많은 비트겐슈타인이 있기에 열렬한 추종자를 만들었다 하듯이, 철학은 자신의 위치, 사상, 관심사, 관계 맺음 등의 다양한 기반에 따라 저마다 다르게 해석하고 바라보고, 또 이해된다. 특히 세계가 폭발적으로 변혁의 길을 걷던 근대 이후 철학은 무수히 많은 학문의 길, 사유의 길을 열었다.
철학이 ‘만학의 제왕’이었던 고대와 중세, 그리고 근대의 전반기에 우리는 ‘철학의 숲\' 안에서 세상을 바라보았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근대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은 저마다 각기 다른 철학의 길을 바라봐야만 했다. 인류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격변했던 근현대기에 수많은 철학자들은 저마다 제시한 질문과 서로가 자신의 입장에서 내린 응답을 하나씩 연결해 가며 철학이 걸어야 할 길이 어떻게 다양해지고 변화했는지를 묻고, 그러면서 철학이 가져야 할 본연의 문제를 탐구했다.

▣ 애덤 스미스? 찰스 다윈? 이들도 철학자라고?
이 책의 주인공인 21명의 철학자를 살펴보면 사람들 대부분은 다소 의아스러워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대를 대표하는 철학자 꼽으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덕/윤리 교과서에서 주구장창 나오는 임마누엘 칸트나 게오르크 헤겔부터 떠올리기 마련이다. 여기에 아르투르 쇼펜하우어나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또는 마르틴 하이데거와 위르겐 하버마스와 같은 철학자를 더 꼽기도 할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그들 이외에 애덤 스미스, 찰스 다윈, 카를, 마르크스, 막스 베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처럼 철학자라고 하기엔 선뜻 망설이게 되는, 일반적인 의미의 철학이 아닌 다른 학문을 연구한 인물까지 제시한다. 게다가 찰스 샌더스 퍼스, 고틀로프 프레게, 라위천 브라우어, 윌러드 콰인과 같은 일반인에겐 꽤나 생소한 인물까지 한데 아울렀다. 그 이유는 뭘까?
전작인 《철학의 숲, 길을 묻다》에서 다룬 고대부터 근대 전기까지에 철학은 ‘학문’의 또 다른 말이라 할 정도로 모든 학문을 포괄했다. 하지만 이 책의 무대인 근대 후반부터 현대에 이르면 철학은 수학, 과학, 정치경제학, 사회학과 같은 다양한 학문으로 본격적으로 분과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여러 분과 학문과 때로는 충돌하고, 때로는 그것에 도움을 받으며 철학은 자신이 나아가야 할 길을 새로 바라보고, 또 열어야만 했다.
즉, ‘철학의 숲’에서 숲 밖을 바라보며 사유의 근원을 묻던 철학자들은, 이 시점에 이르러선 숲에서 나와 세계로 뻗은 여러 갈림길 중에서 어느 한 길을 택하고선 어디로 사유의 여정을 떠나야 할지 결정해야 했다. 시인과 촌장이 노래 <숲>에서 노래했듯, 철학의 숲에서 나와야 비로소 철학이라는 숲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법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철학의 숲에서 나와 저마다 다른 철학의 길을 걸었던 철학자의 눈으로 철학이라는 커다란 숲을 다시 조망하던 모습에 주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