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몇 퍼센트 한국 사람인가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알아봅시다!
지난 20년 동안 우리나라에 정착한 이주민 수는 폭발적으로 늘어 이제는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을 마주치는 일이 흔한 일이 되었어요. 전문가들은 30년 후면 인구의 10퍼센트를 이주민이 차지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지요. 사실 정부는 2006년부터 우리나라가 ‘다문화, 다종족 사회’라고 선언했었어요. 하지만 그로부터 14년이나 지났는데도 여전히 우리나라가 단일 민족 국가라고 믿는 사람이 많아요. 한민족은 다른 민족의 피가 섞이지 않은 하나의 민족이라면서요. 하지만 정말 사실일까요? 세계 시민 수업 시리즈의 아홉 번째 책인 《다문화 사회》를 통해 단일 민족에 대한 오해와 우리 안에 있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편견을 함께 알아 봐요!
한민족은 하나의 핏줄이다?
세상 어느 민족도 하나의 핏줄로 이뤄진 민족은 없다!
고려 말 충렬왕 때 수만 명의 무슬림이 몽골에서 넘어와 한반도에 거주했다는 기록이 있어요. 《조선왕조실록》에도 조선에 거주하는 무슬림 대표들을 정기적으로 궁에 초대했다는 이야기가 있고요. 조선 초기에는 한반도로 이주한 북방 유목 민족이 전체 인구의 25퍼센트를 차지했대요.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약 280개의 성씨 중, 약 130개가 한국의 국적을 얻은 외국계 성씨예요.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과 일본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몽골, 인도, 베트남, 미국, 태국, 러시아 등등,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한반도에 뿌리를 내리고 함께 살아가고 있지요. 이러한 사례는 우리만의 이야기가 아니에요. 덴마크의 한 여행사에서 민족과 인종, 국적이 다른 수십 명의 사람을 선발해 DNA 검사로 각자의 조상을 확인하는 실험을 했어요. 그런데 놀랍게도 100퍼센트 자기 나라 혈통으로 이뤄진 사람이 단 한 사람도 없었답니다. 이처럼 한민족은 물론, 세상 어느 민족도 하나의 핏줄로 이뤄진 민족은 없답니다.
‘다문화’는 누군가의 이름이 아니에요.
우리와 함께 사는 여러 사람들 이야기에 귀 기울여 봐요.
《다문화 사회》 1장에선 우리나라에 이주해 온 사람들이 왜 우리나라에 왔는지 그들이 우리나라에서 마주하는 편견과 차가운 차별이 무엇인지 이야기합니다. 2장에선 역사적으로 다문화 사회였던 우리나라 이야기와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된 미국이 어떻게 기회의 땅이 되었는지를, 3장에선 이주 노동자를 대하는 우리나라의 구조적인 문제와 그들의 어려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러며 독일에서 이주 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해 힘쓰는 사람들 이야기로 결국에는 우리 모두를 위한 길이 무엇인지 알려 줍니다. 4장에서는 이주민의 아이들 이야기로, 우리나라에서 태어나고 함께 자란 아이들의 시선에서 겪고 있는 차별과 문제를 짚어 봅니다. 5장과 6장에서는 건강한 다문화 사회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수업 사례와 활동, 그리고 다른 나라의 사례들을 알려 줍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다문화 사회’가 결국 우리 모두를 위한 사회임을 느낄 거예요.
여러분은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나요?
‘문화 다양성은 개인은 물론 사회의 자산입니다. 문화 다양성을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 유네스코는 위와 같은 발표문을 통해 문화 다양성을 강조해 왔어요. 생각해 보세요. 다양성이 보장된 사회는 개개인이 가진 개성과 색깔을 인정하고, 선택의 폭을 넓히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줘요. 누구나 자기의 국적이나 피부색, 성별과 종교, 신념 때문에 주눅 들지 않고서요. 어떤가요. 여러분은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나요? <세계 시민 수업> 시리즈의 아홉 번째 도서인 《다문화 사회》를 읽고 생각해 보고 친구들과 이야기 나눠 보기를 바랍니다.
극단적 폭력과 차별, 기아 문제, 이제는 세계 시민 교육으로 풀어야 할 때
이제는 세계가 하나의 마을로 우리 일상이 다른 나라 사람들의 삶과 다른 지역의 환경과 긴밀하게 연결된 시대입니다. 지구 반대편에 사는 사람과 시공간을 초월하여 서로의 문화를 실시간으로 나누고, 지구 곳곳의 농산물을 집 앞 마트에서 손쉽게 살 수 있게 되었지요. 지구가 하나의 마을인 양, 우리 행동이 지구 반대편 누군가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우리 일상이 세계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욱 글로벌 이슈에 관심을 갖고 정의와 인권, 평등과 같은 인류 보편의 가치를 공유하고, 기후 변화와 자연 보호 등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책임 있는 시민 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그러한 뜻에 동참하여 21세기 글로벌한 이슈를, 그 분야 전문 필자와 함께 다각도로 살피고 최신 동향을 파악하며, 지금 이 순간 우리가 해야 할 실천 방안을 알아보는 <세계 시민 교육> 시리즈를 기획하였습니다. 《난민》을 첫 번째 권으로 《석유 에너지》, 《식량 불평등》, 《아동 노동》, 《환경 정의》, 《빈곤》, 《혐오와 인권》, 《평화》, 《다문화 사회》가 출간되었습니다. 각 분야 전문가들의 추천 도서이자, 우수출판컨텐츠, 세종도서 교양 부문 추천, 우수 환경 도서 등 유수의 기관에서도 좋은 책임을 인정받았지요. <세계 시민 수업> 시리즈로 세계 시민으로 살아갈 어린이들이 세상을 보는 넓고 깊은 시야와 인간적인 마음을 갖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