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엘리트 분석을 통한 중국에 대한 이해의 심화
우리는 한반도 면적의 약 100배이고, 약 13억의 인구를 가진 중국을 어떤 각도에서 이해할 것인가? 이는 그간 많은 연구자 및 대중들이 끊임없이 제기해왔던 질문이다. 그리고 그 해답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각도에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인간’으로부터 그 해답을 찾고자 했다. 더 구체적으로는, 중국을 관리하고 지배하는 정치 엘리트를 통해 그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즉 이 책은 중국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는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작업의 일환으로써 중국 정치 엘리트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 결과물이다. 다시 말해 한 국가의 정치 및 사회의 성격을 정의하고 더 나아가 향후 전망을 내리는 데 있어서는, 해당 국가와 사회의 정치 엘리트의 특징에 대한 분석이 매우 기초적이고도 중요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책에 나온 최근의 중국 정치 엘리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해당 시기의 중국 사회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지, 또 향후 이 사회가 어떤 식으로 변화할 것인지 충실히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세밀한 비교와 유형화를 통해 알아보는 중국 정치 엘리트의 실상
코리아연구원 총서의 세 번째 책인 《개혁·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는 바로 중국 사회의 최고 정치 엘리트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후보위원 포함)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고, 그 특성을 도출한 작업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발견될 수 있는 각 시기별 중국 정치 엘리트 특성의 변화는 중국 사회 전체 변화의 하나의 잣대라는 기본 관점을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특별히 밝혀둘 것은 본 연구는 개혁ㆍ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를 주된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1982년에 시작된 중국공산당 제12기에서 2002년에 시작된 제16기 중앙위원회 위원과 그 후보위원을 구체적인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제1기~제16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과 후보위원 전체 인원인 1천6백4명의 개인 자료를 담은 <중국 정치 엘리트 데이터 베이스(1921~2003)>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이 책은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그리고 구성에 대해 밝히고 있으며, 제2장에서는 개혁ㆍ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의 특성을 인구 통계학적 범주 즉 성별, 연령, 출신 지역, 민족, 주요 경력 특성과 기타 특성에 따라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소결 부분에서 과연 개혁ㆍ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는 어떠한 이들인지 알아보고, 나름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제3장에서는 개혁?개방기의 각 시기 즉 각 중앙위원회 회기별로 그 특성을 바라본다. 주요 범주는 성별, 출신 지역, 학력 및 선택 전공, 출신 민족, 주요 경력과 기타 특성들이며, 개혁ㆍ개방기 즉 제12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부터 제16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후보위원 포함)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혁ㆍ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의 실체적 특성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제4장에서는 개혁ㆍ개방 전(前)기와 개혁ㆍ개방기의 중국 정치 엘리트를 비교하고, 범주별 즉 성별, 연령, 출신 지역, 민족, 주요 경력 특성과 기타 특성에 따른 차별점 분석을 진행한다. 또 이들 범주별로의 특성이 역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각 회기별로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더불어 나름대로의 이 변화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참고로, 이 장에서는 개혁ㆍ개방 전(前)기 각 중앙위원회의 매 전체 회의의 상황을 간략히 정리하고 있다. 책 말미 부록에서는 제12기부터 제16기까지 즉 개혁ㆍ개방기 중국공산당의 최고 지도부라 규정할 수 있는 기구들과 그 성원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특히 각 중앙위원회 정치국을 중심으로 기구들과 성원을 소개하고, 성원에 대해서는 비교적 자세한 프로필을 정리하고 있는 것이 특기할 만하다. 이 책에서 제시한 중국 엘리트들에 관한 소상하고 깊이 있는 정보들로 중국 사회의 근간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써 중국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적극적인 일독을 권한다.
주장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北京)대학교 ‘정치학 및 행정관리과(政治學與行政管理系)’에서 석사학위를, 같은 대학교 ‘정부관리학원(政府管理學院)’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 중산(中山)대학교 ‘정치 및 공공사무관리학원(政治與公共事?管理學院)’ 교수와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동서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 『중국의 지역성과 중국 소비자』(공저) 『문화대혁명사』(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1천3백 → 1만 2천: 중국 고속철건설을 둘러싼 정책갈등 해소에 관한 연구」 「중국 체제전환기, 정부 산업정책의 속성과 효과 간의 관계: 자동차와 전화교환기 제조업 산업정책의 비교 사례」 「개혁 ? 개방 이전과 이후 시기, 중국 정치 엘리트에 대한 비교 연구」 등이 있다.
코리아연구원(새로운코리아구상을위한연구원, Korea National Strategy Institute)
정치-외교, 경제-통상, 사회통합 부문에서 실증적 분석에 기초한 정책대안 및 국가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연구자-정책담당자-사회운동가의 네트워크가 기반을 이루어 설립된 싱크탱크입니다.
홈페이지 http://www.knsi.org
차례
책을 내면서|중국의 객관적 실체를 찾아서 15
제1장 서론 15
연구 목적과 의의_15
연구 대상_20
연구 방법_27
이 책의 구성_39
제2장 개혁,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의 범주별 특성 41
성별 특성_41
출신 지역 특성_55
학력 및 전공 특성_59
민족 특성_63
주요 경력 특성_66
기타 특성_66
소결: 인구통계학적 범주들을 통해 본 개혁?개방기의 중국 정치 엘리트_71
제3장 개혁,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의 시기별 특성 73
제12기 중앙위원회 위원의 특성_73
제13기 중앙위원회 위원의 특성_94
제14기 중앙위원회 위원의 특성_115
제15기 중앙위원회 위원의 특성_143
제16기 중앙위원회 위원의 특성_171
소결: 개혁?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의 시기별 특성_188
제4장 개혁, 개방 이전 시기와 개혁?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의 각 범주별 및 각 시기별 비교197
개혁,개방 이전 시기 역대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및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의 상황_198
개혁,개방 이전 시기와 개혁?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 비교_293
소결: 개혁?개방 이전 시기와 개혁?개방기의 중국 정치 엘리트_311
부록|개혁,개방기(제12~16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315
참고문헌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