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편으로, 중세사회의 성립과 전개, 그리고 발전과 해체까지를 지배체제, 경제구조, 사회구조, 민의 동향, 사상과 문화 등으로 나누어 각 분야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고 있다. 해방이후 우리 역사학계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식민사관을 청산하려는 목표 아래 각 분야에서 수많은 실증적인 연구성과를 쌓았으며, 아울러 민족사회의 기치 아래 올바른 역사관을 모색해 왔다.
외부적으로는 군부정권과 군사문화을 외압을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사료의 빈곤과 각 분과작업의 고립성을 벗어나려는 과정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통사적 서술체제를 유지하면서 각 분야의 연구사의 논쟁점과 그에 대한 논평, 아울어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한국사 전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기존 연구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3편 중세사회의 성립과 전개
1부 지배체제와 운영
1. 전제 왕권과 진골귀족
2. 호족의 대두와 집권화 과정
3. 문벌귀족과 무인정권
4. 권문세족과 사대부
5. 고려와 동아시아
2부 경제구조
1. 농업생산력의 발전과 상공업
2. 전시과제도와 농장
3. 국가재정과 부세제도
3부 사회구조와 민의 동향
1. 촌락문서와 촌락지배
2. 군현제와 향촌사회
3. 신분구조와 직역
4. 농민항쟁의 전개와 성격
4부 사상과 문화
1. 신라 중대의 불교학과 불교대중화
2. 교선의 문제와 신앙결사운동
3. 유교정치이념의 발전과 성리학
4. 역사서와 역사인식
제4편 중세사회의 발전과 해체
총설: 중세사회의 재편과 근대로의 이행
1부 지배체제와 운영
1. 양반집권체제의 구조
2. 정치세력과 정치운영
3. 군사제도
4. 사대교린관계와 양란
2부 경제구조
1. 농업생산력의 발달
2. 토지소유관계와 지주제
3. 상품유통경제의 발전
4. 부세제도
3부 사회구조
1. 군현제와 면리제
2. 양천제와 신분구조 변동
3. 사족과 향촌사회
4. 민의 성장과 농민항쟁
4부 사상과 문화
1. 성리학의 발전
2. 실학과 민중사상
3. 역사서와 역사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