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 - 형성 시기나 '우리의식'의 형성, 세계에 대한 선인들의 인식 - 와 한국 고대사 중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 -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 기자조선의 실재 여부 - 그리고 사료의 가치와 신빙성 등에 대한 노태돈 교수의 사론집.
이 책은 아직 학계에서 일정한 합의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역사상을 이해하는 데 상이한 면을 드러내는 한국민족의 형성 시기와, 민족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우리의식'의 형성과 역사적 진전, 그리고 우리의식과 표리관계를 이루고 있는 세계에 대한 선인들의 의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남북한 역사학계의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역사학연구에 투영된 '우리'의 다른 모습을 이해하고자 했다.
한국사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고대사 중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와 기자조선의 실재 여부, 그리고 발해사의 귀속을 둘러싸고 국제학계에서 상이한 주장들이 평행선을 긋고 있는 대조영과 발해인에 대해 논쟁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삼국사기』 상대기사와 필사본 화랑세기를 통해, 역사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사료의 가치와 신빙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제1부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
한국민족 형성시기론
1. 혈연공동체와 민족
2. 문화 공동체와 민족
3. 정치·경제 공동체와 민족국민과 민족
4. 한국민족 형성과정
연개소문과 김춘추
1. 두 사람의 생애
2. 두 사람에 대한 그간의 평가
3. 642년의 두 사람의 담판
4. 반은 영웅, 반은 흉역
5. 나머지말
삼한에 대한 인식의 변천
1. 신라 때의 통일인식과 삼한
2. 후삼국시대의 삼한인식
3. 고려전기의 삼한인식
4. 고려후기의 삼한인식
18세기 사서에 보이는 세계사 인식체계
1. 『동문광고』의 체제와 저자
2. 『동문광고』의 내용
3. 『동문광고』의 성격
4. 동문의 세계에서 만국의 세계로
해방 후 민족주의 사학론의 전개
1. 신민족주의사학
2. 식민주의사학 비판과 민족주의사학
3. 민족주의사학의 새로운 경향들
4. 분단극복사회론
5. 민중적 민족주의사학
북한학계의 고대사 연구
1. 고조선과 부여, 진국
2.삼국의 성립과정과 그 시기
3.삼국시대의 사회구성
4.민족 형성과정에 대한 논의
제2부 한국 고대사의 쟁점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
1. 낙랑군 조선현의 위치
2. 왕검성과 패수
3. 고조선의 초기 중심지
기자동래설의 사실성 여부
1. 기자동래설의 내용
2. 기자에 대한 인식의 변천
3. 기자조선의 실재성에 관한 논의
대조영과 발해인
1. 대조영의 생애
2. 대조영은 고구려인이었나
3. 발해인은 누구인가
『삼국사기』 상대기사의 신빙성 문제
1. 사서고서의 가치와 사료적 신빙성
2. 불신론의 근거
3. 전면적 긍정론의 문제점
4. 앞으로의 과제
필사본 화랑세기의 사료적 가치
1. 조사 경위
2. 필사본의 화랑세기의 구성
3. 필사본 화랑세기의 진위검토
4. 필사본 화랑세기의 학술적 가치
5. 필사본 화랑세기와 고전승
재론 - 필사본 화랑세기는 진본인가
1. 초록본을 만든 이유
2. 향가와 『삼국유사』
3. 풍속, 용어
4. 사료로서의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