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 조교수로 재직중인 고영진 교수가 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연구성과물을 모은 것이다. 「조선사회의 정치 사상적 변화와 시기구분」, 「조선시대 사상사 연구입문」, 「16세기 호남사림의 활동과 학문」, 「주자가례의 연구와 집성」, 「이황 연구의 동향」 등의 논문이 실려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그 동안 필자가 발표해온 연구 성과물들을 모은 것이며, 시기마다 비중은 조금씩 다르고 양명학 노장사상 등이 부각된 시기도 있었지만 조선시대 전반을 지배했던 사상은 철학적인 측면보다는 정치 사회적인 측면에 더 관심을 두었던, 이황과 이이 계통의 성리학이었으므로 성리학을 중심으로 연구 기술되었다.
고영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대학원 석사·박사 과정을 졸업한 후 현재 광주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조선 중기 예학사상사』 『역사 속의 역사 일기 1, 2, 3』(공저) 등의 저서와 「15·16세기 주자가례의 시행과 그 의의」 「17세기 전반 호남사림의 학문과 사상」 등의 논문이 있다.
제1부 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조선사회의 정치·사상적 변화와 시기 구분
1. 머리말
2. 시기구분의 여러 경향과 문제점
3. 사상적 변화
4. 정치적 변화
5. 바람직한 시기 구분론의 제한
조선시대 사상사 연구 입문
- 성리학을 중심으로
1. 개관
2. 연구동향
3. 과제의 전망
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머리말
2. 조선 전기 성리학 주체적 수용(15세기)
3. 조선 중기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16∼17세기)
4. 조선 후기 성리학의 극복 노력(18∼19세기)
제2부 조선중기 사상사의 새로운 이해
성리학의 연구와 보급
1. 성리학의 간행과 보급
2. 전기의 성리학 연구
3. 이기심성 논쟁
4. 학파의 분화
5. 성리학적 사회윤리의 실천
16세기 호남사림의 학문과 활동
1. 머리말
2. 호남사림의 존재와 역할
3. 학파의 분기와 학문적 특징
4. 맺음말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서울 침류대학사의 활동과 그 의미
1. 머리말
2. 침류대의 위치와 건립 시기
3. 침류대학사에 대한 분석
4. 고문 부흥의 운동
5. 상공업 중시경향과 삼교회통 . 잡학적 학풍의 대두
6. 맺음말
17세기 전반 남인학자의 사상
1. 머리말
2. 남인학자의 존재와 역할
- 정경세와 김응조를 중심으로
3. 예학과 예론
4. 사회경제정책론
5. 맺음말
17세기 후반 근기남인학자의 사상
- 윤휴, 허목, 허적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근기남인학자의 존재와 역할
3. 학문적 특성
4. 예론과 사회경제사상
5. 맺음말
주자가레의 연구와 집성
1. 주자가례에 대한 학문적 관심
2. 주자가례의 주석과 언해
3. 주자가례 연구의 심화
조선중기 향례에 대한 인식의 변화
1. 머리말
2. 15세기 향주음례, 향사례와 향약
3. 16세기 향례의 이해와 시행
4. 17세기 향례에 대한 인식의 변화
5. 맺음말
제3부 조선시대 사상사 연구 동향
이황 연구의 동향
1. 이황의 생애
2. 8.15 이전의 연구
2. 북한학계의 연구
4. 남한학계의 연구
5. 맺음말
한글로 쓴 최초의 한국유학사 - 『조선유학사』
1. 머리말
2. 사상형성 과정
3. 『조선유학사』의 체제와 내용
4. 연구사적 위치
해방 50년 조선시대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1. 머리말
2. 시기별 연구 동향
3. 분야별 연구동향
4. 과제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