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서의 한국 연구는 매우 풍부하면서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학술적 업적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한국 내에는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에 대한 정보가 매우 적을 뿐 아니라 이에 대한 인식이 낮은 수준이다. 이 책은 러시아 한국학의 태동과 형성 발전단계를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책은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 한국학 학자들이 한국과 러시아에서 동시 출판을 목적으로 기획 집필한 『러시아의 한국 연구』의 한국어판이다.(러시아어판은 1999년 10월 출간 예정) 소련 러시아의 한국학은 그 방대한 성과에 비해 우리에게 낯익은 분야는 아니다.
반소이데올로기의 장막을 걷고 한·소간의 국교가 수립된 지 불과 10년도 채 흐르지 않았고, 게다가 언어적 장애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한러간의 학술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러시아학계의 연구들이 단편적으로나마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오랜 기간 축적된 러시아 한국학 현황에 대한 폭넓은 인식은 한국학 전반의 발전과 심화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여겨진다.
사실 소련·러시아 한국학은 남북한을 제외하고는 최고의 연구 기반과 성과물을 보유하고 있음을 자부해왔다. 소련 러시아 한국학은 모든 시기와 분야에 걸쳐 주목이 대상이 되지만, 특히 러시아가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다음의 시대 및 분야별 연구는 우리에게 귀중한 유산이 될 수 있다.
기광서
연세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업하고,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 대학원을 마쳤다(역사학 박사). 경기대, 상명대, 한일장신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북한정치체제의 형성과 소련의 역할(1945∼47년)」(1997, 박사학위논문), 「모스크바3상회의(1945년 12월)와 한국의 분열」(노문, 1997), 「1940년대 전반 소련군 88독립보병여단 내 김일성그룹의 동향」(1998), 「소련의 대한반도 북한 정책 관련 기구 및 인물 연구(해방∼1948. 12)」(1998) 등의 논문이 있다.
제1부 러시아 한국학의 탄생
제1장 한·러 문화, 학문관계의 기원
제2장 1884년 이후 러시아 사회과학 사상에서의 한국
제3장 러시아 한국학의 태동 - 1990년에서 1917년까지
제4장 소비에트 러시아의 한국학 - 1920∼30년대
제2부 현대 러시아의 한국학: 방향, 문제, 연구자들
제1장 현대 러시아의 한국학의 탄생과 발전
한국학 발전에의 필요성 증대
한국학자들의 양성
한국학의 중심기관들
한국 관련 문헌 소재 도서관과 문서보관소
현대 러시아 한국학의 발전단계
러시아의 주요 한국학 학자들
러시아의 한국학과 두 한국
제2장 한국사 연구
서설
고대와 중세
근대 한국
식민지 한국 현대사
한국의 해방
한국전쟁
한국의 통일 문제
외국 학자들의 저작 연구
한국사 개설서
제3장 북한 정치문제 연구
북한사
북한의 국가·사회제도
북한의 국제관계
제4장 북한의 경제 연구
해방 후 북한 경제 연구의 첫 단계
사회주의 건설 단계에서의 북한 경제 연구
현 북한 경제 연구
제5장 러시아의 한국학에 비친 한국의 정치·사회적 발전
서설
한국문제의 국제적 측면
한국의 정치 사회적 발전 문제
아시아 신흥공업국가로서의 한국
국제관계의 주체로서의 한국
제6장 러시아 학자들의 한국경제 관련 저술
한국경제 연구의 첫 단계
한국경제에 있어서 외국 자본의 역할
산업 생산력의 형성과 발전 문제
농업 생산과 농업 관계
세계자본주의 경제체제 속의 한국
사회·계급적 발전 문제, 노동조건, 물질적 복리 수준
한·러 간의 경제 협력
학술 실무 회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