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버지니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신현실주의의 비판적 고찰」, 「동아시아와 케난의 딜레마」 등이 있다.저자의말
우리는 20세기 내내 근대적 통일국가의 수립을 열망하면서 살아왔다. 그러나 불행히도 통일국가 건설에 대한 꿈을 실현하지 못한 채 우리는 21세기를 맞이하고 있다. 유럽의 국제정치 질서가 동양으로 팽창하여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를 대체하기 시작한 19세기말 조선은 서구의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했다.
그 후 해방된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냉전 대결의 영향으로 분단되었고 그 분단상태는 20세기가 저무는 이 시점까지 계속되고 있다. 결국 그런데 근대국가의 발상지인 유럽은 이미 근대국가의 틀을 뛰어넘는 유럽연합을 결성하고 시장단일화를 통해 광역국가를 건설함으로써 새로운 미래 국가의 모습을 창출해나가고 있다. 따라서 21세기를 맞이하는 우리에게는 유럽연합의 등장과 같은 새로운 흐름에 주목하면서 통일국가 건설을 추구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가 주어져 있다.
책을펴내며
제1장 통일한국의 모습
통일한국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통일한국의 패러다임 - 평화통일 강대국론
통일한국의 패러다임에 의한 방법론과 논의 순서
제2장 국제정치현실과 자연상태
불타는 '리바이어던'
자연상태와 무정부상태
대내적 자연상태와 대외적 자연상태
제3장 이중의 무정부상태와 평화통일 강대국론
분단현실과 국제정치현실의 중첩성
국제정치현실과 현실주의 전통
무정부적 국제정치현실의 재생산과 분단현실
평화통일강대국론-평화통일의 실현과 강대국의 건설
제4장 기존의 통일방안에 대한 평가
중립화 통일방안
연방제 통일방안
국가연합안
제5장 통일한국의 성립과 역사의 의미
역사철학과 역사의 의미
냉전의 종식과 역사의 의미
평화통일강대국론과 민족사의 의미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