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치사의 사회적 기반을 밝히려는 연구로서 필자의 한국 근 현대정치 연구의 주된 관점은 전통적인 비교정치학이나 정치사상 혹은 정치사 어느 것에도 딱 들어맞지 않는다. 굳이 말하자면 역사사회학적인 관점과 한국 정치 연구를 접맥시키려는 거시적 관점에서 일련의 문제들이 다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한국 정치사의 3대 연구방법론 중 역사사회학적 연구방법이 우리 학계에서 좀더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보고 집합행동, 사회운동, 공공영역 등의 역사사회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한국정치사의 사회적 기반을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한국 근 현대의 여러 문제들을 심도 깊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정치사, 외교사, 사회사, 사회이론, 정치사상 및 언론과 커뮤니케이션 등 관련 분야의 경계를 넘어설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김용직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거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정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Politics of Communications and the Colonial Public Sphere of Modern Korea in the 1920s」, 「Formation of a Modern State and National Social Movement in Modern Korea:March First Movement in Comparative Historical Perspective」, 「구미 사회운동의 특성:집합행동론적 시각」, 「J.-J. Rousseau의 애국주의 사상 연구」, 「혁명과 독립:청년 이승만의 정치사상, 1894-1910」 등이 있다.
머리말
서론
제1부 전통에서 근대로: 민주주의와 민주주의의 기원
제1장 한국 정치사 연구방법론
제2장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 유교적 공론정치와 공공영역
제3장 한국 민족주의의 기원: 정치운동과 공공영역
제2부 한국 근·현대 정치사와 문명전파
제4장 문명전파와 동아시아 근대이행
제5장 사회운동으로 본 3·1운동
제6장 3·1운동과 복합적 근대 이행
제7장 한국전쟁과 사회운동: 브루스 커밍스의 사회혁명 - 내전가설 비판
제3부 세계화시대 한국의 민족국가의 장래
제8장 민족주의·국제관계·근대성
제9장 국제화와 민족국가: 19세기와 20세기 한국의 대응
제10장 한국 민주주의의 정치이념과 국제주의: 진로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