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국의 '총체적 난국'을 심층 진단하고 위기극복을 위한 방안으로 민중주도의 통일민주복지국가의 실현전략을 제시한 새로운 정치이론서
제1부 국가위기이론
제1장 국가위기이론의 분류와 관점
제1절 마르크스주의 관점과 자유주의 관점 비교
제2절 이론의 내용별 분류
제3절 위기의 원인, 분류 및 처방에 관한 이론 분류
제2장 자유주의 관점의 위기원인이론
제1절 경제적 접근
제2절 정치적 접근
제3절 사회구조적 접근
제4절 심리적 접근
제5절 자유주의 관점의 위기 원인이론에 대한 평가
제3장 마르크스주의 관점의 위기원인이론
제1절 정통 마르크스주의 이론
제2절 경제적 접근
제3절 정치경제적 접근
제4장 위기 분석 및 위기 유형에 관한 이론
제1절 시각에 따른 분류
제2절 국가 계층구조에 따른 분류
제3절 한국의 위기징후
제4절 절충론적 관점의 위기분류
제5장 위기 극복에 관한 이론
제1절 자유주의 관점의 위기 극복이론
제2절 마르크스주의 관점의 위기 극복이론
제3절 한국사례의 분석과 처방을 위한 이론틀
제2부 한국의 국가위기에 대한 분석
제1장 역대 정권별 위기의 성격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정권별 위기의 성격과 그 극복
제3절 국가 위기의 주도변수
제4절 정권별 국가위기의 구조와 극복 주체
제5절 국가위기의 정치경제적 성격
제2장 역대 정권별 위기의 국가계층적 분석과 국가 성격의 변화
제1절 국가 성격의 변화와 불변성
제2절 국가의 개념수준에 따른 위기와 국가 성격의 변화
제3절 한국 국가 성격의 변화
제3장 제6공화국 등장 전후의 국가위기의 성격
제1절 제5공화국 권위주의체제의 위기와 국가, 사회간의 새로운 갈등
제2절 6월 민주항쟁과 6. 29선언
제3절 제6공화국의 구조적 위기 1
제4절 제6공화국의 구조적 위기 2
제5절 제6공화국의 구조적 위기 3
제6절 국가의 혼란된 성격과 총제적 위기
제4장 제6공화국 분단위기의 성격과 통일정책
제1절 분단위기의 상황적 성격
제2절 분단 권위주의 국가기구의 위기와 대응
제3절 보수지배연합의 위기와 대응
제4절 분단위기에 대한 심리적 접근
제5절 민중통일론과 국가 통일논의 독점간의 갈등
제6절 분단위기의 극복과 민중주도의 통일 추진
제5장 제6공화국의 발전위기의 성격과 복지정책
제1절 발전위기의 상황적·구조적 성격
제2절 발전위기의 경제적 측면
제3절 보수·혁신간의 갈등과 발전위기
제4절 노사갈등과 발전위기
제5절 지역간 갈등구조와 분배위기
제6절 자본 내부의 갈등
제7절 발전위기에 대한 심리적 접근
제8절 제6공화국 발전위기의 극복
제6장 제 6공화국 정당성위기의 성격과 민주화정책
제1절 정당성위기의 성격
제2절 군부 지배체제의 극복과 문민화
제3절 영· 호남 지역간 갈등구조와 민주화, 자치화
제4절 국가조합주의적 통제기제의 완화와 민주화
제5절 의회제도 및 정당제도의 위기와 극복
제6절 지배연합의 위기와 민중세력의 등장
제8절 정당성위기의 극복
제3부 국가위기 극복을 위한 비교국가론적 분석
제1장 통일에 의한 분단위기 극복
제1절 동·서독의 통일정책 비교 및 통일국가 추진 과정
제2절 한국의 통일정책 변화 및 민중통일론과의 비교
제3절 북한의 통일정책과 남·북한의 통일정책비교
제4절 평가와 분단 극복방안
제2장 민주화에 의한 정당성위기 극복
제1절 남미의 민주화와 위기 극복
제2절 서유럽의 민주화
제3절 소련체제의 개혁과 민주화
제4절 동유럽의 민주화
제5절 중국의 개혁 추진과 민주화의 좌절
제6절 한국 권위주의 체제의 민주화
제7절 평가 및 민주화 방안
제3장 복지화에 의한 발전위기 극복
제1절 미국의 1930년대 위기와 뉴딜정책
제2절 1960년대 미국의 분배위기와 `위대한 사회' 정책
제3절 소련과 동구권의 체제 개혁과 위기 극복
제4절 스웨덴의 복지국가
제5절 평가 및 복지화 방안
제4장 한국 위기 극복의 미래상
제1절 한국의 미래 선택
제2절 `통일민주복지국가'의 미래상
제3절 미래 복지국가의 성격
제4절 국가구조, 정책망 및 지배연합의 성격
제5절 사회계급 및 세계체제와의 연계
제5장 민중주도의 통일민주복지국가의 실현전략
제1절 변혁주체의 의의와 방법
제2절 변혁 주체로서의 민중
제3절 민중주도의 방식
제4절 민중 주도의 변혁전략